목록2022/03 (2)
기술 블로그
웹 컨테이너(WAS)가 실행되면서 DB와 미리 connection(연결)을 해놓은 객체들을 pool에 저장해두었다가. 클라이언트 요청이 오면 connection을 빌려주고, 처리가 끝나면 다시 connection을 반납받아 pool에 저장하는 방식 대부분의 백 서비스들은 커넥션 제한을 두고있다. 그렇기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되므로 연결 풀링이 필요하다. spring boot mvc 에서 적용 방법 application.properties = spring.datasource.hikari.username=afnoxcv94pt2vmxs spring.datasource.hikari.password=igmvtai8x5nc484h spring.datasource.hikari.maximum-pool-size=..
1. 전역 this global객체 (window)등을 가리킴 2.함수 내 this 함수의 주인인 객체에 바인딩 디폴트 바인딩이 없다면 window strict모드에서는 undefined 3.객체 내 함수(메서드)에서 this 함수의 주인인 객체를 가리킴 4.이밴트핸들러 안에서 this 이밴트를 받는 요소를 가리킴 5.함수가 생성자로서 쓰여질때 함수내 this new키워드로 함수를 불러오면 그 함수는 생성자 함수가 된다. this는 함수를 생성하는 객체로 바인딩 6.화살표 함수로 쓴 this (함수 안에서 사용하는데 window객체로 바인딩하기 싫을 때) 생성자 "함수내의 함수"의 this는 전역객체로 바인딩된다 화살표 함수 내의 this는 부모 함수나 클래스의 this를 바인딩한다. 7.명시적 바인딩을..